닫기

질병청 “코로나 신규 백신 면역력 기존 5배… 10월 중 접종”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onelink.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816010008756

글자크기

닫기

한제윤 기자

승인 : 2024. 08. 16. 15:37

6월 중단 백신, 이번 변이와 불일치
백신 접종 간격 90일 이상 유지 특성
10월 접종 백신, 식약처 허가 진행
'마스크 쓴 시민들' 코로나19 확산 우려
16일 광주 동구 전남대병원에서 내원객들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다. /연합.
최근 유행하는 코로나19 변이에 대한 신규 백신 접종의 면역 효과가 지난 절기 백신보다 5배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형민 질병관리청 예방접종정책과장은 16일 오후 열린 질병청 '코로나19 발생 동향 및 대응방안' 관련 백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히며 "10월 중 맞게 되는 JN.1 신규 백신을 동시접종할 수 있도록 관계당국과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질병청은 '23~'24절기 접종과 '24년 상반기 고위험군 추가 접종을 지난 6월 30일자로 종료한 바 있다. 이는 코로나19 최소 접종 간격인 3개월을 고려하고, 신규 백신 도입 등으로 인한 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엔데믹 발표 이후 1년여 만에 최근 코로나19 환자가 다시 급증하면서 백신 접종을 지금이라도 당장 재개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이와 관련해 이 과장은 "지난 6월 30일 종료한 백신은 최근 유행 중인 변이에 일치하지 않다"며 "백신은 접종 간 간격이 90일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는 특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유행 중인 변이에 맞춰 적용할 수 있는 신규 백신은 이미 식약처 허가 절차를 진행 중이다. 여러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기존의 과거 절기에 사용한 게 아닌 새로운 백신을 도입하려고 준비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질병청은 이번 코로나 재유행 및 입원환자 급증으로 치료제 품귀 현상이 빚어지면서 수급 예측에 실패한 게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고개를 숙이기도 했다. 수급 예측 실패 원인으로는 지난해 여름 유행 때보다 치료제 사용량이 급격히 늘어 공급에 차질을 빚었다는 취지로 설명했다.

박지영 질병청 비축물자관리과 과장은 "치료제가 부족한 상황을 질병청도 체감하고 있고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사과했다.

그러면서 "그렇지만 필요 상황을 판단한 시점부터 글로벌사와 긴밀하게 협의해 이번 주부터 (치료제를) 수급하고 있다"며 "경구치료제 외 주사제는 매일 신청하고, 매일 공급하고 있다. 특히 중증치료제인 주사제는 이번 주 내에 상급종합병원에 추가로 더 공급하려고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치료제 수급 상황을 인지한 시점부터 재정당국과 예산에 관해 협의했고, 26만명분 이상을 수급할 수 있게 했다"며 "빠르게 치료제를 수급해 안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질병청이 파악한 바에 따르면 코로나로 인한 입원치료 연령대는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65세 이상이 65% 이상을 차지한다. 입원 이유는 중증환자이기 때문도 있겠지만, 여러 기저질환에 따른 합병증일 수 있다고 진단한다.

홍정익 코로나19대책반 상황대응단장은 "입원을 했다고 다 중증환자는 아니다"라면서도 "중증환자는 입원환자에 비례해 증가한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질병청은 코로나를 위기 상황이 아닌 '일상 감염병' 수준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번 변이의 경우 계절독감과 유사하거나, 그것보다 낮은 수준의 치명률을 보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마스크 착용이나 감염자 병가 제공 등의 조치를 의무사항으로 규제하지는 않기로 했다.

홍 단장은 "이번에 환자가 늘면서 평소 마스크 권고 수준을 '강력권고'로 높였지만, 의무는 아니다"라며 "일상에서 마스크 착용과 감염병 예방수칙을 지키고, 아프면 쉬는 문화를 강조하면서 일상적으로 사회 분위기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특히 "병가의 경우 방역당국 권고에 따라 기업이나 공공기관에서 실제로 아픈 직장인이나 소속원이 다른 것을 고려하지 않고 자유롭게 병가나 연차를 쓰는 문화가 잘 정착될 수 있도록 참여해달라"며 "직접 협조를 구할 수 있는 공공기관에는 강력하게 요청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한제윤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