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매달 마지막 수요일은 ‘한복입는 날’…전통문화 적극 육성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onelink.asiatoday.co.kr/kn/view.php?key=20241226010014255

글자크기

닫기

전혜원 기자

승인 : 2024. 12. 26. 11:21

문체부, 전통문화산업 진흥 기본계획 발표…공공시설 안내직원 한복근무복 시범 도입
ㅇ
한복 근무복. /문화체육관광부
정부가 매달 마지막 주 수요일을 '한복입는 날'로 지정해 공무원 등이 한복을 입고 출근하도록 장려한다. 또 박물관, 미술관, 해외문화원 같은 공공시설의 안내 직원 등을 대상으로 한복근무복을 시범 도입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6일 서울 종로구 정부종합청사에서 열린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 등을 골자로 한 '제1차 전통문화산업 진흥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기본계획은 지난 9월 시행된 '전통문화산업 진흥법' 제5조에 따라 마련한 첫 번째 기본계획이다.

'현대화·융합으로 전통문화산업 생태계 조성'과 '전통문화를 K컬처의 대표 브랜드로 육성'을 2대 목표로 정한 이번 기본계획은 공급과 수요, 매개, 기반 등 4개 분야를 나눠 총 8개의 전략 과제를 제시했다.

우선 수요 분야에선 '전통문화 향유 기회 확대를 통한 수요 창출'을 전략 목표로 삼았다. 전통문화 소비 촉진에 정부가 앞장서서 인식을 개선하겠다는 취지다. 이를 위해 우선 매달 마지막 주 수요일을 '한복입는 날'로 정해 정부·지자체·공공기관에서 정기적으로 한복을 입는 계기를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3·1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등 국경일과 57개 기념일의 '옷차림 약속(dress code)'을 한복으로 지정해 공직사회부터 한복 착용 문화 확산을 추진한다. 박물관, 미술관, 해외문화원, 공공시설 대상으로 안내 직원 등 대민 접점이 많은 직무 분야부터 한복근무복을 우선 도입한다는 계획도 내놨다. 매년 10월 세 번째 주를 '한복문화주간'으로 지정해 한복 입기를 장려하고, 전통 한지를 활용한 상품 공모전을 통해 소비 기회를 확대할 방침이다.

'전통문화의 산업적 성장을 위한 기업 육성 및 연구개발(R&D) 등 지원 강화'라는 공급 분야 전략 목표도 세웠다. 이를 위해 문체부는 전통 장인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공방·소기업을 전통문화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전통문화 청년창업기업을 성장단계별로 지원하고, 세계 진출을 선도하는 기업 모델 발굴을 위한 전통문화 선도기업을 키울 계획이다.

또 전통문화기업에 특화한 금융·투자 지원 제도를 신설하는 등 전통문화산업 분야 연구개발(R&D)과 금융 지원도 확대할 방침이다. 국내 온오프라인 유통·판로 지원 확대와 전통문화 해외 진출 강화로 전통문화산업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전략 목표도 밝혔다.

'공예트렌드페어' 등 한류축제 등과 연계해 전통문화 전시·체험과 전통문화상품 홍보를 강화하고, 온오프라인 판매 공간을 확대해 전통문화상품에 대한 대국민 소비 접점을 늘릴 예정이다. '메종&오브제' 등 해외박람회와 연계해 전통문화기업의 홍보를 확대하고, '한식문화상자' 등을 보급해 재외한국문화원의 기반 시설을 활용한 홍보를 강화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튼튼한 전통문화사업 기반 구축을 위해 산업 실태조사와 인력양성에도 공을 들인다. 장인-청년 지도(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청년 직무실습(인턴십) 도입, 전통문화 융복합 교육과정 신설 등을 추진한다.

또 '중앙-지방-공공기관 실무협의체'를 만들어 전통문화 관련 협업과제를 도출한다. 산업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실태조사를 정례적으로 실시하고, 품질인증제도를 운영해 전통문화상품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를 높인다는 계획도 세웠다.

문체부는 2029년까지 기본 계획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우리 전통문화를 단순히 보존하는 데 그치지 않고 고부가가치 한류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포부를 제시했다.

유인촌 장관은 "앞으로 5년간 문체부를 비롯한 정부 부처와 지자체, 공공기관, 민간이 함께 이번 기본계획을 성공적으로 이행해 전통문화를 고부가가치 한류 산업으로 육성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혜원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