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장 인력 ‘돌려막기’ 급급… 소규모지역 치안공백 주민불안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onelink.asiatoday.co.kr/kn/view.php?key=20241031010017323

글자크기

닫기

설소영 기자 | 반영윤 기자

승인 : 2024. 10. 30. 17:56

기동순찰대·중심관서제 신설 지적
경찰청 "지역 경찰과 문제해결 연구"
민원 증가에 지역관서 운영 철회도
경찰대 교수 "시민이 원하는 서비스
였는지 재검토할 필요 있어" 조언
홍대 기동순찰대 순찰
서울경찰청 기동순찰1대 소속 경찰관들이 지난 26일 핼러윈 기간을 맞아 홍대 관광특구 '클럽거리' 일대를 순찰하고 있다. /강다현 기자
경찰 일선에선 112 출동 시간이 늦어지는 가장 큰 이유로 '인력 부족'을 꼽는다. 인력 부족의 배경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대체로 올 초 신설된 '기동순찰대'와 '중심지역관서제'를 지적한다.

30일 경찰에 따르면 지난해 잇따라 발생한 묻지마 범죄로 인해 시민 불안이 가중되면서 경찰은 각종 이상동기 범죄에 신속히 대응하고자 올 2월 기동순찰대를 신설했다. 기동순찰대는 사건을 접수받아 현장으로 출동해 해결하는 지구대·파출소와 달리 범죄 예방을 목적으로 순찰 활동에 집중한다. 중심지역관서제는 치안 수요가 많은 대표격 1곳을 '중심관서'로 지정해 운영하는 제도로, 범죄 취약지역에 순찰 인력을 보다 집약적으로 운용하고자 도입됐다. 지역관서 간 112신고 등 업무량의 편차가 크게 나타나는 점을 고려한 조치였다.

하지만 이 두 제도는 현장 인력 부족이라는 의도치 않은 결과를 가져왔다. 실제로 현장에서는 한정된 인력으로 돌려막기식 운영을 하는 탓에 중심관서에 포함되지 않은 지역의 경우 치안 공백에 직면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경찰청 관계자는 "기동순찰대는 출범 이후 내근이나 경비 인력을 활용해 운영하고 있다"며 "112신고 접수 후 지역 지구대 순찰차가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을 앞당기기 위해 지역 경찰과 연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치안 공백에 대한 주민들의 반발은 적지 않은 상황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전국에서 치안수요가 가장 많은 지역 중 한 곳인 경기도에서는 치안 공백을 우려하는 주민들의 민원이 빗발치자 중심지역관서 3곳의 운영이 철회되는 일도 있었다.

주민들은 중심지역관서 운영 시 평일 야간에는 파출소 내 별도의 인력을 두지 않는다는 점 때문에 치안 공백을 우려했다. 소규모 지역이 치안 수요가 적지만 막상 사건이 발생할 경우 출동시간이 늦어져 적절한 대응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주민의 치안 공백 해소 요구에 지방자치단체들이나 지방의회도 팔을 걷고 나섰다. 지난 4일 전북특별자치도의회는 김정기 전북도의원이 발의한 '경찰청 중심지역관서 제도 폐지 촉구 건의안'을 채택했다.

해당 건의안을 발의한 김 의원은 "주민밀착형 치안서비스를 제공하는 지구대나 파출소와 같은 소규모 지역경찰관서는 농어촌지역 주민들의 의존도가 절대적인 경찰관서"라고 말했다.

안산시의회는 지난 7월 31일 경기남부경찰청을 방문해 중심지역관서 철회를 요구하고, 군포시와 군포시의회도 잇따라 경기남부청장을 만나 중심지역관서 철회를 위한 면담을 진행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 같은 치안 공백과 일선의 우려에도 조지호 경찰청장은 오히려 "전체적인 성과를 고려했을 때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라며 "현장 경찰관들의 반발이 과도한 측면이 있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조 청장은 △순찰 시간 약 25% 증가 △직원 연가 사용일수 10%가량 증가 △육아시간 사용 30% 증가 △자원 근무 20% 감소 등의 성과를 언급하며 중심지역관서제의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해 일선 경찰들의 빈축을 샀다.

전문가들은 조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개편이지만, 시민들은 치안 공백과 서비스의 불안정성을 우려하고 있어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는 "흉기난동 등 강력 범죄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시민들은 가까이서 경찰의 존재를 체감하기를 원한다"며 "효율성 측면의 조직 개편이 이뤄지게 된 상황이기 때문에 시민의 뜻과 시민의 편의성, 시민이 원하는 서비스였는지 경찰은 다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윤호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경찰 입장에서는 제한된 인력을 계속 늘릴 수 없어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밖에 없다"며 "단기적 예산 절감을 목표로 현장 경찰을 줄이는 것이 좋은 선택이 아니다. 현장 경찰의 감소는 범죄 예방의 공백을 만들며, 장기적으로는 더 큰 피해와 비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설소영 기자
반영윤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