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상 다 끝나야 자동차 관세 15%로 조정될 것"
|
위 실장은 이날 오전 KBS 라디오 '정관용의 시사본부'에 출연해 "그런 부분들이 많이 완화되고 없어지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수개월 전에는 좀 더 있었겠지만 대선을 거치고 취임을 하고 많은 한미 간 교류가 있었기 때문에 그런 부분이 지속적으로 희석됐다"며 이 같이 말했다.
특히 위 실장은 이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하기 전 일본을 간 것이 "한미관계가 더 발전하는 것에 기초가 됐다"고 평가했다.
위 실장은 "결정적으로는 저희가 일본을 거쳐서 미국을 가는 결단을 했고 그 부분은 미국 조야에서 굉장히 긍정적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한국산 자동차의 미국 관세율이 지난달 말 15%로 합의됐음에도 미국에서 여전히 25%인 것과 관련해 그는 "맞물려 있는 다른 합의들이 있다. 다 합의돼야 하지만 이제 (15%로 조정이) 끝나는 거라고 본다"고 밝혔다.
위 실장은 "한미 협상에서 투자 약속이나 투자 펀드를 조성하는 문제, 관세나 비관세 문제들이 한 묶음이 돼 있다"며 "그 문제가 조금 남아 있어서 약간 지연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모든 것의 합의 전까지는 합의되지 않았다는 개념과 비슷하다"고 덧붙였다.
위 실장은 한국의 3500억 달러 투자 계획에 대해 미국측이 구체적인 내용을 빨리 갖고 와서 문서로 합의하자는 요구가 있었다는 것과 관련해 "(미국이) 세부 사항까지 다 들어간 문건을 만들고 싶어 했던 건 맞다"고 인정했다.
그러면서 위 실장은 "우리는 세부 사항까지 가려면 여러 가지 검토가 더 필요하다"며 "법적 검토, 국회 논의 등 그런 것들이 시간적으로 볼 때 이번 정상회담 때 다 완결 짓기는 어려웠기 때문에 지속적인 협의 과제로 남겨졌다"고 설명했다.
핵심 의제 중 하나로 거론됐던 원자력협정 문제에 대해 위 실장은 "정상 간에 이 사안이 거론됐고, 대체로 분위기는 긍정적이었다"며 "의미 있는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