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재자원화 지원 예산 편성…순환경제 핵심 산업육성 ‘첫걸음’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onelink.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02010001317

글자크기

닫기

장예림 기자

승인 : 2025. 09. 02. 17:45

본예산에 재자원화 산업 육성지원 38억원 배정
정부, 지원사격…'공급망 확보' 기대감
2023년 재자원화율 20% 달성 목표
전문가 "예산 포함 자체가 중요한 것" 평가
clip20250902161923
리튬 원석./연합
정부가 내년도 예산안에 신규 사업으로 '핵심광물 재자원화 산업 육성지원 사업'을 포함시키면서 관련 산업이 본격적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마련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2026년 본예산(정부안)을 역대 최대 규모인 13조8778억원으로 편성했다. 여기서 사용후 배터리를 회수해 리튬 등 핵심광물을 생산하는 '핵심광물재자원화산업육성지원' 사업을 신설하고, 38억원을 배정했다.

해당 사업의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재자원화 시설 지원 △재자원화 국내외 거버넌스 운영 등 2가지로 추진된다. 여기서 재자원화 시설 지원 사업은 핵심광물 재자원화 시설확충을 위해 국내 핵심광물 공급 확대가 가능한 기업에 공정설계 등 재자원화 시설·장비 구입자금을 보조·지원하는 것으로, 한국광해광업공단이 정부 예산을 받아 211개 기업에 지원하게 된다.

앞서 산업부는 2030년까지 '10대 핵심광물 재자원화율 20% 달성' 목표를 잡았다. 지난해 7% 수준인 점을 고려하면 6년 만에 13%포인트(p) 올리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23년 2월 '핵심광물확보전략', 2024년 2월 '자원안보 특별법', 올해 3월엔 '핵심광물 재자원화 활성화 추진방향' 등을 연이어 발표했다.

정부가 재자원화 활성화 계획을 발표한 지 2년 만에 처음으로 정부안에 반영되면서 업계에서는 재자원화 산업의 추진동력이 생겼다는 평가가 나온다. 예산 규모를 떠나 공급망 강화를 위한 정부 차원의 본격적인 지원 사격이라는 점에서 상당히 고무적이라는 해석이다. 김진수 한양대 교수는 "예산이 배정된 것 자체가 중요한 첫 걸음"이라며 "재자원화는 순환경제에도 필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체계적으로 잘 갖추면서 나아가야 한다. 시작을 잘 했다"고 말했다.

정부가 재자원화 산업에 주목하는 이유는 △국내 공급망 내재화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 △순환경제 등 세 가지가 꼽힌다. 사용후 버려지는 전자제품과 배터리 속에는 리튬·코발트·희유금속 등 핵심자원이 다량 포함돼 있는데, 재자원화 광물은 채굴 원광 대비 회수 가능량이 5~20배까지 높다. 전체 광물 해외수입의존도가 95.5%에 달하는 우리나라 상황상 재자원화가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2030년엔 배터리 수명이 다한 모빌리티 수단이 400만대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환경규제도 강화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2031년부터 배터리에 일정 비율 이상의 재활용 원료 사용을 의무화하는 '배터리법'을 시행할 예정이다. 대외의존도가 높은 수출주도형 구조라는 점을 고려하면 환경규제를 따를 수 밖에 없는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핵심광물의 국내 생산 확대 등 재자원화 산업 육성은 자원안보 확립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장예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