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부진 흐름서 반전…경제회복 위한 경주 이제부터 시작"
"정책 역량 결집해 AI·초혁신경제 선도프로젝트 추진"
|
구 부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장기간 지속됐던 경기부진 흐름이 새 정부 출범 이후 반전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정책 효과로 소비심리가 7년 7개월 만에 최고 수준인 111.4로 상승했고, 7월 소매판매도 29개월 만에 최대폭인 2.5%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소비 회복에 힘입어 1분기 역성장했던 국내총생산(GDP)이 2분기 들어 반등한 가운데 전산업 생산 등 산업활동 주요 지표도 2개월 연속 개선됐다"가 덧붙였다.
그러면서 "경제회복을 위한 본격적인 경주는 이제부터 시작"이라며 "글로벌 통상리스크에 빈틈없이 대응하는 한편 모든 정책 역량을 결집해 인공지능(AI)·초혁신경제 선도프로젝트를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미국 관세대응 방안이 논의됐다. 구 부총리는 "우리 기업의 관세피해를 최소화를 위해 연말까지 13조6000억원의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을 공급하고 수출바우처도 내년까지 약 4200억원을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관세피해업종 저리운영자금(산업은행·3조원)은 금리를 추가로 인하(-0.3%p)하고, 대출 한도도 10배로 늘리겠다"며 "관세 영향이 큰 철강과 알루미늄은 이차보전 사업과 '긴급 저리융자자금(200억원)'을 신설하고 철강 핵심 원자재에 대한 긴급할당관세를 연내에 적용하겠다"고 말했다.
중소기업과 주력산업의 수출경쟁력 강화 방안도 제시했다. 그는 "뷰티·패션·라이프·푸드 등 '4대 K-소비재'를 중심으로 수출 강소기업을 육성하고 신시장 개척을 위한 금융·인증·마케팅을 패키지로 지원한다"고 말했다. 또한 "철강과 자동차 등 주력산업의 초격차기술 연구개발(R&D)을 확대하는 한편, 100조원 이상의 '국민성장펀드' 조성방안도 조속히 확정해 첨단전략산업에 전폭적으로 투자해 나가겠다"고 언급했다.
이 밖에도 정부는 국민 생활편의 제고를 위한 공공기관 체감형 서비스 33건도 개선하기로 했다.
한국전기안전공사의 '전기안전 119' 무상 응급조치 서비스는 임산부·다자녀 가구까지 확대되며, 전국 모든 어린이집·유치원에는 한국전력공사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이 전자파 무료 측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학자금 대출 신청은 기존 평일에서 주말·공휴일까지 확대된다.
코레일은 기차 탑승 후에도 앱을 통한 좌석 변경을 가능하게 하고, 한국석유관리원·한국도로공사는 고속도로 주유소에서 '내일 유가'를 미리 안내한다. 국립공원공단은 장애인·노약자·임산부 등 교통약자를 위한 탐방 차량을 지원하고, 한국수자원공사는 우리 강 자전거 종주길을 러닝까지 가능한 테마형 멀티트랙으로 확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