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대차, 트랜스로컬 시리즈의 첫 전시 개막… “예술을 통한 소통과 이해”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onelink.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03010001980

글자크기

닫기

남현수 기자

승인 : 2025. 09. 03. 16:11

현대차,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 첫 번째 전시
"예술 통한 동시대적 연결성에 관한 소통과 이해"
250903 (사진 5)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 - 엮음과 짜임》 전시 개막
고소미, <한 사람의 사람들, 연속>(2025) 외,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 엮음과 짜임》 전시 전경./김우일, 청주공예비엔날레조직위원회 제공
현대자동차가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의 첫 번째 전시인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 엮음과 짜임'이 이달 4일부터 11월 2일까지 '2025 청주공예비엔날레' 특별전으로 개최된다고 3일 밝혔다.

현대자동차의 새로운 아트 파트너십인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는 국내외 예술 기관들의 상호 협력을 통해 공동 전시를 선보이는 신규 프로젝트다.

이번 프로젝트는 공동 연구와 신작 커미션 및 연계 프로그램 진행까지 총체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전 세계 여러 지역의 예술 기관들이 공통적으로 주목하는 초지역적 주제에 대해 함께 살펴보며 예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자 기획됐다.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 엮음과 짜임'은 시리즈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전시로 '2025 청주공예비엔날레'와 영국 맨체스터에 위치한 '휘트워스 미술관'이 공동 기획하고 인도 뉴델리에 있는 '인도 국립공예박물관'이 협력 기관으로 참여했다.

이번 전시는 한국의 공예 문화, 인도의 장인 문화, 영국의 산업 혁명 및 세 도시(청주, 뉴델리, 맨체스터)의 역사적 교류를 바탕으로 지역과 대륙을 넘나드는 교역의 중심이었던 섬유를 단순한 거래 대상이 아닌 서로 다른 문명을 이어주는 역사적 교류의 유산으로 살펴볼 기회를 제공한다.

전시 작품으로는 '섬유 공예와 커뮤니티'를 주제 삼아 한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작가 8팀의 신작을 포함해 한국 전통 섬유 작품, 휘트워스 미술관이 소장한 인도 전통 섬유 작품 등 총 30여점을 선보인다.

전시에 참여한 보이토, 장연순, 홍영인, 카이무라이, 고소미, 페로, 수막쉬 싱, 유정혜 등 8팀의 작가들은 지난 2월과 4월 인도와 한국에서 진행된 리서치 트립을 통해 다양한 지역의 섬유 기법과 재료, 장인 문화를 탐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신작을 제작했다.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의 시작을 알리는 이번 협업은 시대와 지역을 잇는 섬유 예술의 서사를 새롭게 조명하며 예술의 다층적 의미를 살펴볼 기회를 제공한다"며 "현대자동차는 국내외 예술 기관 간 초지역적 협업을 지원함으로써 예술을 통해 동시대적 연결성에 대한 폭넓은 소통과 이해를 이어가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2025 청주공예비엔날레 강재영 예술감독과 휘트워스 미술관 이숙경 관장은 "한국, 인도, 영국의 섬유 예술 간 교류를 탐색하는 데 있어 무엇보다 상호 연결성과 서로 공유하는 전통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었으며 이번 전시에 초청된 여덟 팀의 작가들은 멀게만 보이는 이 지역들이 지닌 섬유 예술의 유산을 동시대의 시각으로 다각도로 재조명한다"라며 "이들의 엄밀한 연구와 관대한 협동성은 섬유 예술이 지닌 촉각적인 특성과 노동 집약성, 체화된 방식을 반영함에 따라 깊은 감명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 엮음과 짜임' 전시는 2025 청주공예비엔날레의 특별전으로 첫선을 보인 뒤 2026년 2월 인도 국립공예박물관, 2026년 7월 영국 휘트워스 미술관에서 차례로 전시가 이어질 예정이다.

한편, 이번 시리즈의 두 번째 교류 기관으로 선정된 '백남준아트센터'와 브라질 상파울루에 위치한 '피나코테카 미술관'은 지난 4월과 5월 포럼 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했으며 오는 2026년 11월로 예정된 공동 기획 전시를 준비하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새로운 아트 파트너십인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를 통해 향후 10년간 중장기적으로 다양한 기관의 초지역적 예술 협업을 지원하며 지역 활성화 및 예술의 다양성과 확장성을 경험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개방적이며 통합적인 협력이 중심이 되는 예술 생태계 형성을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남현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