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제네시스 역사상 가장 강력…GV60 마그마에 담긴 첨단 기술력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onelink.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24010012518

글자크기

닫기

르 카스텔레 김정규 기자

승인 : 2025. 11. 24. 16:05

제네시스, 프랑스 현지서 테크 브리프 열어
"럭셔리 전동화 고성능 기준 새롭게 세워"
KakaoTalk_20251124_070022985_03
만프레드 하러 부사장이 지난 21일(현지시간) 프랑스 르 카스텔레 폴 리카르 서킷에서 열린 미디어 간담회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현대차그룹
제네시스가 브랜드 첫 럭셔리 고성능 라인업 '마그마'의 포문을 여는 'GV60 마그마'를 공개하며 럭셔리 퍼포먼스 시장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특히 개발을 총괄한 만프레드 하러 현대차그룹 차량개발담당 부사장은 가장 큰 난제로 '시간과의 싸움'을 꼽으면서도, 촉박한 일정 속에서 발휘된 조직의 대응력과 팀워크가 프로젝트 성패를 좌우했다고 강조했다. 동력부터 주행·조향·제동·정숙성까지 전 영역에서 기존 GV60을 넘어서는 대대적 업그레이드가 적용됐는데, 개발 담당 연구원들은 "럭셔리 전동화 고성능의 기준을 새롭게 세운 모델"이라고 입을 모았다.

만프레드 하러 현대차그룹 차량성능개발 담당 부사장은 지난 21일(현지시간) 프랑스 르 카스텔레의 폴 리카르 서킷에서 열린 미디어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하러 부사장은 "타임 투 마켓이 매우 촉박했고, 스펙을 확정하고 제품 철학을 정립하는 과정 자체가 큰 부담이었다"고 설명했다. 설게 변경이 많은 프로젝트였던 만큼 비즈니스, 디자인, 주행성능, 정숙성 등을 통합적으로 재정비해야 했다.

그는 당시 상황에 대해 "E-GMP 플랫폼을 활용했지만, 새로 손대야 할 부분이 워낙 많았다"며 "불과 1년 전까지도 실제 차량 주행을 통해 세팅을 조율했다는 사실만으로도 일정이 얼마나 타이트했는지 이해하실 것"이라고 설명했다.

KakaoTalk_20251124_155408695
제네시스 GV60 마그마 개발 연구원들이 지난 21일(현지시간) 프랑스 르 카스텔레의 폴 리카르 서킷에서 열린 미디어 테크 브리프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김정규 기자
본격적인 기술 설명은 이에 앞서 열린 미디어 테크 브리프에서 확인 가능했는데, 개발 담당 연구원들은 "럭셔리 전동화 고성능의 기준을 새롭게 세운 모델"이라고 입을 모았다. 동력부터 주행·조향·제동·정숙성까지 전 영역에서 기존 GV60을 넘어서는 대대적 업그레이드가 적용됐기 때문이다.

GV60 마그마는 제네시스 전기차 가운데 가장 강력한 성능을 목표로 개발됐다. 동력 성능을 담당한 강태준 제네시스 전기차 성능시험팀 책임연구원은 "전후륜 구동 모터의 내구성능과 모터 최대회전수를 높여 최고출력 650마력,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까지 3.4초에 도달하는 성능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최고속도 역시 제네시스 전기차 중 가장 빠른 시속 264㎞다. 고속 주행 시 출력을 유지하기 위한 모터 제어도 새로 설계됐으며, 부스트 모드 역시 기존 10초에서 15초로 늘렸다.

전강욱 R&H시험팀 책임연구원은 GV60 마그마의 핸들링과 차체 균형에 대해 "전·후륜 롤센터를 기존 대비 대폭 낮췄고, 신규 서스펜션 지오메트리를 적용했다"며 "타이어 접지력과 코너링 성능을 이전 모델 대비 확실히 끌어올렸다"고 말했다.

실제로 GV60 마그마는 넓어진 차체, 전용 단조휠, 고성능 타이어를 통해 고속 주행 안정성이 강화됐으며, 스트로크 센싱 타입 ECS를 적용해 노면 상태에 따라 실시간으로 감쇠력을 정밀하게 제어한다.

KakaoTalk_20251124_155600587
지난 20일(현지시간) 프랑스 르 카스텔레에서 열린 '마그마 월드 프리미어' 행사에서 제네시스 GV60 마그마가 최초 공개되고 있다./김정규 기자
주행 제어 소프트웨어도 기존과 확연히 달라졌다. 김귀철 샤시시험팀 파트장은 "전륜과 후륜 보터의 구동력을 주행상황에 따라 세밀하게 배분해 언더스티어와 오버스티어를 자연스럭베 억제하는 등 새로운 토크 벡터링 제어를 도입했다"며 "한계 상황에서도 차량 거동을 예측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고 말했다.

특히 고성능 전기차에서 NVH(소음·진동·불쾌소음)는 가장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 중 하나다. 엔진음이 사라진 전기차 특성상 풍절음과 노면 소음이 오히려 더 크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제네시스는 풍동시험실에서의 횡풍 조건 검증, 뉘르부르크링과 아우토반 고속 주행 시험을 통해 풍절음과 고속 진동 억제 기준을 새로 설정했다. 차체 보강과 흡차음재 재배치로 '고성능이지만 조용한 제네시스'라는 브랜드 특성을 유지한 것도 특징이다.

이부영 소음진동시험팀 책임연구원은 "고성능 타이어를 쓰면서 정숙성을 유지해야 했기 때문에 NVH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도전적 프로젝트였다"고 설명했다.

하러 부사장은 "우리는 하나의 목표를 향해 움직이는 '원팀'이었다"며 "한국 기업 특유의 빠른 실행력도 큰 장점이었다. 엔지니어링부터 의사결정까지 모든 과정이 신속하게 이어졌다"고 말했다.

한편, 제네시스는 내년 1월 국내를 시작으로 미국과 유럽 등에 GV60 마그마를 출시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를 시작으로 마그마 라인업 확장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김정규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