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중심 전문학사와 연구중심 학사 운영
|
4년제 학사과정 40개 모집단위에서 1719명(정원내 1626명, 정원외93명), 2년제 전문학사과정 4개 모집단위에서 150명(정원내)을 모집한다.
송하철 총장은 "담양캠퍼스는 광주권과 인접해 오히려 본교보다 접근성이 뛰어나다"며 "통합 전 410명 규모였던 2년제 전문학사 선발 인원을 150명으로 줄이고, 대신 약 60%는 4년제로 전환한다"고 설명했다.
담양캠퍼스 4년제 과정에 MZ세대 감각을 반영한 문화·예술 전공과 미래 모빌리티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전공이 신설됐다. 공연 실기부터 기획까지 전 과정을 배워 국내외 역량있는 뮤지션으로 성장시키는 △공연음악전공, 전통기법을 바탕으로 현대 조형예술을 융합해 실용성과 예술성을 겸비하는 △도자공예전공, K-뷰티 트렌드에 대응하는 1인 창업형의 △뷰티미용전공, 급변하는 AI와 미디어 환경에 맞춘 1인 유튜버와 같은 영상·멀티미어 전문가를 양성하는 전남 유일의 △미디어크리에이터전공 등이 대표적이다.
또 미래형 수송시스템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항공드론융합전공과 △미래자동차전공도 신설해,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첨단 모빌리티 엔지니어로 진출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미래챌린지대학인 2년제 과정은 전남의 주력산업과 특화된 분야에 집중했다. 60명을 모집하는 스마트해양에너지학부에는 AI융합 생산제조 자동화 글로벌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최초로 신설한 △스마트해양시스템전공이 있고, 전국 최고 에너지 산업의 허브인 전남의 해상풍력·태양광 등의 에너지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최초로 신설한 △신재생에너지전기전공이 있다.
또 안전관리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에 맞춰 △산업안전융합전공이 설치됐다. 아울러 △스마트농수산융합전공은 광주·전남 유일의 치유농업사 양성과정으로, 스마트팜 운영부터 가공·마케팅·관광까지 농수산업의 미래형 전문가를 길러낼 계획이다.
성인학습자들이 선호하는 발효식품. 바이오식품, 제과제빵 등의 전문가를 양성하는 △식품생명전공과 외식산업 트렌드를 반영해 새로운 스타일의 다양한 음식문화를 창출하는 △외식조리제빵과가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사회기반 시설을 만들고 유지하는데 필요한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토목환경과(야간) 개설 운영한다.
이처럼 국립목포대의 담양캠퍼스는 실무 중심의 전문학사와 연구 중심의 학사과정을 유연하게 연계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다양한 진로 설계와 성장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 담양캠퍼스는 지역사회와 지역 산업이 요구하는 맞춤형 인재 양성의 거점 대학으로 도약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