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관세 협상 후속 지원대책·신대외경제전략' 곧 발표
|
구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한미 양국 간 경제 분야의 진전된 협력이 있었다"며 이번 정상회담의 성과를 평가했다.
특히 조선·원자력·항공·액화천연가스(LNG)·핵심광물 분야에서 2건의 계약과 9건의 양해각서(MOU)가 체결돼 '한미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의 기반이 마련됐다고 강조했다.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금융 패키지와 관련해서는 "지난 7월 말 합의를 재확인한 의미가 있으며, 향후 세부 실행 방안을 양국이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 부총리는 한일 정상회담 성과에 대해서는 △경제안보 소통 강화, △수소·인공지능(AI) 등 미래산업 협력, △공통 사회문제 협의체 출범을 주요 진전 사항으로 꼽았다.
그는 "공급망 등 경제안보 분야 정상 차원 소통을 활성화하고, 저출산·고령화, 인구 감소, 수도권 집중, 농업, 방재 등 공통으로 직면한 사회문제의 해결 방안도 모색해 나갈 것"이라며 "수소 공급망 연계, 암모니아 혼소발전 생태계 구축, AI 분야 글로벌 사우스 공동진출 등 양국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미래 핵심 산업분야의 협력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구 부총리는 아세안과의 협력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그는 "공급망 안정과 수출 시장 다변화를 위해서는 세계 3대 시장인 아세안 주요국과의 네트워크 고도화는 필수적"이라며 말레이시아·태국·싱가포르 등 아세안 주요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구 부총리는 조만간 '미 관세 협상 후속 지원대책'을 발표해 우리 기업의 대미 관세 대응을 지원하고, 새로운 통상 환경 변화에 맞춰 새 정부의 '신대외경제전략'도 구체화해 제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