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페이크 성범죄·교제폭력 대응 강화, 아동·청소년 보호 약속
|
3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원 후보자는 "여가부의 상당히 많은 업무가 청소년 지원 정책인데 부처명에서 청소년이 빠짐으로써 오해가 발생할 수 있다"며 "정부조직법 개편안 논의 과정에서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단순한 이름 변경을 넘어 성평등 사회 실현을 위한 조직 확대 개편과 현장과의 적극적인 소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여가부 내년 예산안에서 청소년 정책이 차지하는 비중은 13.5%로 가족정책(70.6%)과 성평등정책(13.9%)에 이어 주요 영역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부처 명칭에 청소년이 포함되지 않아 현장과 국회에서 지속적으로 반영 요구가 제기돼 왔다. 민주당 김한규 의원은 '성평등가족청소년부'로 개편하는 내용을 담은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한 상태다.
원 후보자는 세종 이전 문제와 관련해서도 "특별한 잔류 이유가 확인되지 않았다"며 "관련 법률안이 발의돼 있고 추진된다면 적극 협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원 후보자는 청문회 과정에서 여가부의 지난 3년간 폐지 논란과 위상 축소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했다. 그는 "부처 폐지가 계속 거론되면서 성평등 정책을 제대로 계획하기 어려웠고, 다른 부처에서도 여가부 제안을 받아들이기 힘든 상황이었다"며 "이번 확대 개편을 통해 성평등 정책 총괄 조정의 핵심 부서로서 여가부가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청문회 준비 과정에서 직원들의 절박함을 느꼈다"며 "여가부가 축소와 잼버리 사태 등 어려움을 겪었지만 이제는 다시 기대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다"고 밝혔다.
원 후보자는 "여가부가 출범 이후 호주제 폐지(2005년), 양성평등기본법 전부개정(2014년) 등을 통해 제도적 기틀을 다져왔다"며 "이제 성평등가족부로 확대 개편해 성평등정책 총괄·조정 기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성별 인식 격차 해소 △노동시장 성평등 △돌봄과 양육 지원 △고립·은둔 청소년 보호 △젠더폭력 대응 △성매매 근절 등을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특히 딥페이크 등 디지털 성범죄 대응체계 고도화, 교제폭력 예방, 아동·청소년 대상 범죄 엄정 대응을 강조했다.
또 한부모·다문화가족 지원 강화, 아이돌봄서비스 확대와 국가자격제 도입 등 구체적인 가족 정책 방향을 내놨다. 청소년 지원에 대해서는 "청소년들이 자기 삶의 주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권리를 존중하고 다양한 활동과 역량 개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