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트 고비' 넘겼지만… 긴장감 재고조
|
23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전현직 의원 26명 전원(현직 6명)이 최근 패스트트랙 충돌 사건으로 벌금형을 선고받아 모두 의원직을 유지했다. 개헌저지선 붕괴 우려까지 거론됐던 국면에서 '최악의 시나리오'는 일단 피했다는 평가가 당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다만 3대 특검(내란·김건희·순직해병) 수사가 동시에 진행되는 만큼, 여야 충돌은 심화할 조짐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긴장감은 추경호 의원 체포동의안 표결 국면에서 표면화하고 있다.
여야는 오는 27일 본회의에서 추 의원 체포동의안 표결을 실시할 예정이다. 범여권 의석 규모를 고려할 때 가결은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는 분위기다. 체포동의안이 국회를 통과할 경우 추 의원의 구속 여부는 이르면 이번 주말쯤 결정될 전망이다. 앞서 권성동 의원도 지난 9월 체포동의안이 통과된 뒤 엿새 만에 구속영장이 발부된 전례가 있어, 당은 유사한 절차가 반복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비상계엄 당시 국민의힘 의원 중 본회의장까지 이동해 '계엄 해제 표결'에 실제 참여했던 김용태 의원의 진술도 변수로 꼽힌다. 김 의원은 당시 여의도 당사에서 국회 본청으로 이동해 원내대표실에 대기했고, 이후 본회의장으로 내려가 표결에 참여했다. 특검은 의총 장소 변경 경위와 전달 체계, 의원 동선 등 당시 상황을 복원하기 위해 김 의원을 핵심 참고인으로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지난 22일 새벽 페이스북에 "조금 전 특검 참고인 조사를 마쳤다"며 "계엄 해제 표결에 참여한 의원으로서 기억하는 바를 모두 말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비상계엄 1주년을 앞두고 당 대응 전략을 다시 조정하고 있다. 송언석 원내대표는 국회 안에서 대여투쟁을 총괄하며 투쟁 기조를 이어가는 한편, 최근에는 의원들에게 장외투쟁 참여를 독려하는 메시지를 발송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