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이어 하나 '신규 전세대출' 등 제한
신한·우리도 중단땐 실수요자 부담 커져
대출이 막히면서 실수요자의 고민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만약 페널티가 현실화돼 내년 가계대출 총량이 더욱 줄어들게 된다면, 총량이 리셋으로 가계대출이 활발해지는 '연초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는 분석이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은행(KB국민, 신한, 하나, 우리)의 올해 가계대출 증가액(정책대출 제외, 20일 기준)은 7조8953억원으로 이들이 금융 당국에 제출한 올해 증가액 한도 목표 5조9493억원을 32.7% 초과했다. 아직 11월임에도 4개 은행 모두 목표를 넘어섰다.
지난 6·27 대책으로 하반기 총량이 기존 계획 대비 50% 줄어들면서 올해 목표치가 빠르게 초과됐다는 분석이다.
이에 일부 은행들은 신규 대출 접수 중단에 나섰다. KB국민은행은 22일부터 비대면 채널에서 올해 실행 예정인 주택 구입 자금용 주담대 신규 접수를 중단했다. 타 은행 대환대출(주담대·전세·신용대출)과 신용대출 상품인 'KB스타 신용대출Ⅰ·Ⅱ'도 신청을 막았다. 24일부터는 대면 창구에서도 올해 실행분 주택 구입 자금용 주담대가 접수되지 않는다.
하나은행은 25일부터 대면을 통한 주담대와 전세대출 신규 접수를 제한한다.
이는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KB국민과 하나은행이 선제적으로 대출을 중단하면서 '쏠림현상'으로 신한과 우리은행에 대출 신청이 몰릴 경우, 이들 은행도 빠르게 대출 중단 조치를 시행할 수 있다.
문제는 실수요자들이다. 연말은 주택 계약 종료로 이사 및 전세 갈아타기 거래가 늘어나면서 주담대를 포함한 가계대출 수요가 크게 증가하지만, 이미 강력한 가계대출 규제로 인해 대출 문턱이 높은 상황이다. 여기에 신규대출 접수 중단이라는 대출절벽 현실화로 실수요자가 겪을 부담은 더욱 커졌다.
특히 총량 규제가 새로 적용되는 내년 초에 대한 기대감도 떨어진 상황이다. 정부의 규제 의지가 강한 만큼, 은행들도 연초에 대출 문을 크게 열 가능성은 낮다.
무엇보다 올해 가계대출 한도 초과로 인한 제재가 이뤄질 경우 내년 가계대출 총량 한도는 올해보다 더 줄어들 수 있다. 그동안 금융당국은 총량 목표 미달성 시 대출 취급 한도 축소, 신규 대출 제한 등의 페널티를 부과하겠다고 강조해 왔다.
업계 관계자는 "가계대출 규제에 대한 정부 입장이 명확하다는 점에서 내년에도 가계대출 총량 관리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며 "총량 규제가 새로 적용되는 연초부터 대출 관리에 힘쓸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