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추사 필법 계승한 서예가 흥선대원군을 아시나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onelink.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24010012211

글자크기

닫기

강릉 김철수 기자

승인 : 2025. 11. 24. 18:10

강릉 박시형 교지·흥선대원군 이하응 간찰 및 제문, 강원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백패교지,고신교지 등 조선 초 교지연구 귀중한 자료...흥선대원군 친필 문서도
강릉시 유형문화유산
강원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박시형 교지(왼쪽)와 흥선대원군 이하응 간찰 및 제문. /강릉시
'강릉 박시형 교지'와 '강릉 흥선대원군 이하응 간찰 및 제문'이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유산위원회(제2분과) 심의를 거쳐 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강릉 박시형 교지는 백패교지 1점, 고신교지 6점의 총 7점의 교지로 구성되어 있다. 백패교지는 기존 학계에 알려진 15세기 조선시대 백패교지 중 15건만이 소개돼 이번에 지정된 백패교지의 가치가 크다. 또한 고신교지 6점은 조선시대 세조~성종 재위기에만 사용했던 '시명옥보(施命玉寶)'가 찍혀 있어 조선 초기 교지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교지는 왕이 신하에게 관직, 관작, 토지, 노비 등을 하사할 때 발급하는 일종의 통지 문서다. 특히 백패는 생원·진사 합격자에게 주는 교지를 뜻한다. 박시형 백패교지는 1456년 세조 2년에 발급된 문서 원본으로 감정됐고 고신 교지 6점은 모두 15세기에 발급된 고신 교지의 원본이다.

'강릉 흥선대원군 이하응 간찰 및 제문'은 간찰 29점, 제문 1점 등 총 30점의 시전지로 구성돼 있다. 흥선대원군의 생전 친필 저작물로서 실각 이후 자신의 생각을 기탄없이 서술한 사적 기록물로서 희귀한 자료다. 추사 김정희의 필법을 계승한 서예가로서의 흥선대원군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어 서예학적인 가치 또한 높은 귀중한 유물이다.

총 30점의 간찰 및 제문은 주로 흥선대원군이 신좌모에게 보낸 문서다. 창녕조씨 강릉파 혜재 문중에 전래되어 오다가 현재는 강릉시 율곡국학진흥원에서 기탁받아 관리하고 있다. 율곡국학진흥원 전시실을 방문하면 흥선대원군의 친필이 담긴 문서를 직접 열람할 수 있다. 내년에는 자료의 가치를 심층적으로 조명하기 위한 학술대회도 열 계획이다.

기호남인인 신좌모는 고종의 즉위로 집권한 흥선대원군의 주요 후원세력 중 한 사람이었다. 흥선대원군과 정치 철학을 공유하며 상호 인정과 내적 친밀도를 공유하는 사이였음을 기존 사료들로 짐작할 수 있어 본 간찰 및 제문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심의를 통해 각각 조선 전기와 조선 후기의 역사적 가치가 큰 사료가 연이어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며 시 소유 국가유산은 총 138개에 달한다.

허동욱 시 문화유산과장은 "강릉은 역사적으로 영동지방 학술 문화의 중심지로서 연구기관과 민간에 소중한 기록유산을 다수 보존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귀중한 문화유산을 적극 발굴해 국가유산으로 지정 신청함으로 미래 세대에 소중한 문화유산을 물려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철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