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일 군에 따르면 국방부는 최근 자체 감사를 통해 이번 사안이 공군의 사전 협조 요청 미비와 지휘계통에 부합한 보고 부실에서 비롯된 것으로 결론 내렸다.
공군은 당초 일본 영공을 통과해 괌 앤더슨 기지로 이동할 계획이었지만, 일본 측 승인을 사전에 확보하지 못한 채 출발했다.
이 수송기는 지난달 13일 괌에서 열리는 리포팩(REFORPAC) 훈련에 참가하기 위해 서울공항을 이륙했으나, 한반도를 벗어난 뒤 악천후를 만나 예정 항로에서 벗어나게 됐다.
우회 비행으로 연료 부족을 우려한 수송기는 급유를 위해 일본 오키나와현 가데나 미군 기지에 비상 착륙을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조종사가 일본 관제소에 '예방착륙'(Precautionary Landing)을 통보했으나, 일본 측은 해당 용어를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결국 일본의 승인 없이 JADIZ에 진입하게 됐다.
이로 인해 일본 항공자위대 전투기가 긴급 출격했으며 이후 일본 관제소가 우리 조종사에게 국제 공용 조난 신호인 '메이데이'(MAYDAY) 호출을 요구하면서 비상착륙이 허가됐다.
공군은 지난 28일 국방부로부터 감사 결과를 통보받은 것으로 전해졌다.